전체 글236 1-1. 해킹과 보안의 역사 목표1. 정보 보안의 필요성 확인2. 정보 보안의 의미 이해3. 해킹과 보안의 역사4. 시대별 정보보안의 주요 이슈 이해5. 시대별 정보보안의 특징 이해 정보화 사회에서의 보안유비쿼터스 :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 제어(통제)로 인한 문제 발생이슈 예시 : 출입 통제 시스템으로 인한 감금, 의료 시스템 해킹으로 인한 동작 오류에서 비롯되는 환자 피해 자동차 혹은 기차의 시스템 해킹으로 인한 동작 경로 조작, 발전 시설에 대한 공격으로 인한 전기 공급 중단 등 사고 유발 군사적 목적 해킹북한으로부터의 APT 공격 해킹과 보안의 역사 (~ 2000년대)해킹 : 정상화 되어있는 컴퓨터 시스템에 악의적 목적으로 접근하여 정상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정보.. 2024. 7. 30. [서버 세팅] 4. Session Clustering (세션 클러스터링 in WAS) 필자는 당시 세팅 과정에서 검색을 통해 세션 클러스터링이라는 용어를 알게 되었다. 만약 필자의 세팅으로 1번 WAS 서버를 통해 페이지에 로그인을 유지하던 중, 서버에 문제가 생겨서 멈추는 등의 상황이 발생한다면 로그인 했던 세션이 만료된다. 따라서 이런 경우 로그인 한 유저의 세션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세션 클러스터링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 * * * * 위와 같은 내용을 WAS 서버의 .. 2024. 5. 10. [서버 세팅] 3. WEB 1. Tomcat Connectors 설치>>> wget https://archive.apache.org/dist/tomcat/tomcat-connectors/jk/tomcat-connectors-1.2.48-src.tar.gz>>> tar -zxvf tomcat-connectors-1.2.48-src.tar.gz Tomcat connectors를 /usr/local에 설치하고 나서 그 하위의 native directory로 이동한다. Directory의 파일을 살펴보면 buildconf.sh를 볼 수 있는데, 이것은 mod_jk를 build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이를 build 하기 위해서는 autoconf와 libtool이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 이들이 없으면 mod_jk를 build 할 수 없.. 2024. 5. 10. [서버 세팅] 2. WAS 1. Java 설치>>> yum install –y java-1.8.0-openjdk-devel>>> ln –s /usr/lib/jvm/java-1.8.0-openjdk-1.8.0.372.b07-1.e17_9.x86_64 /usr/local/java Tomcat을 설치하기 위해 java를 설치한다. 여러 버전이 있겠지만 mariaDB 때와 마찬가지로 1.8 ver.을 설치했었다. 그리고 설치한 java의 link directory를 생성했다. 2. Tomcat 설치>>> wget https://archive.apache.org/dist/tomcat/tomcat-8/v8.5.27/bin/apache-tomcat-8.5.27.tar.gz>>> tar zxvf apache-tomcat-8.5.57.tar.gz.. 2024. 5. 10. [서버 세팅] 1. DB KT 클라우드에서 서버를 생성하고 WEB - WAS - DB 중, 가장 먼저 DB 설정 작업을 수행했었다. 다음의 순서대로 작업을 진행했다. 1. repo 파일 생성위치 : /etc/yum.repos.d/파일 이름 : MariaDB.repo내용 :[mariadb]name = MariaDBbaseurl = https://archive.mariadb.org/mariadb-10.1/yum/centos7-amd64gpgkey=https://yum.mariadb.org/RPM-GPG-KEY-MariaDBgpgcheck=1 /etc/yum.repos.d/ 위치에 MariaDB.repo 파일을 생성하고, vi editor를 열어 위와 같은 내용을 작성해준다. 당시에 작업을 진행하면서 사용했던 MariaDB는 10.. 2024. 5. 1. [서버 세팅] 사전 작업 당시 일을 하면서 KT 클라우드의 시스템을 활용해볼 수 있었다. KT 클라우드의 콘솔로 접속하면 서버를 생성하고 메모리 및 ip, 방화벽을 설정하는 등의 기능을 활용해볼 수 있었다. 가장 먼저 해야하는 일은 작업하고자 하는 서버의 방화벽을 열어주는 것이다. 이미지에는 ALL로 표기되어 있으나, 보안을 위해서는 TCP, ICMP, FTP의 방화벽을 열어주는 것이 좋다. 안타까운 점은 이들을 한 번에 설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세 번에 걸쳐 방화벽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FileZila와 같은 ftp 전송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직접 설치 파일을 전송하는 것이라면 상관없지만, yum을 사용하여 DB나 tomcat을 설치하고자 했을 때는 문제가 생겼다. CentOS로 서버를 새로 생성하면 이미.. 2024. 5. 1. 이전 1 ··· 6 7 8 9 10 11 12 ··· 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