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90

[Dev] 23.04.28. 탄력적 IP 설정 및 도메인 연결 (feat. 가비아) 지인의 조언에 따르면, 단순하게 해봤다는 말과 함께 해당 작업 기록을 남기는 것보다 실제로 작업에 대한 오픈을 해놓는 것이 훨씬 좋다고 한다. 직접 눈으로 볼 수 있고, 작동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했다. 그래서 도메인을 연결하기로 했다. 탄력적 IP 설정 먼저 할 작업은 EC2 인스턴스에 탄력적 IP를 설정하는 것이다. 필자는 기존에는 과금 여부 때문에 따로 탄력적 IP를 설정하지 않았으나, 도메인과 연결하기 위해서는 고정된 IP를 가져야할 것 같아서 탄력적 IP를 설정하기로 했다. 과정은 다음과 같다. AWS EC2 console에서 좌측 네트워크 및 보안 > 탄력적 IP 를 클릭하면 탄력적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설정들을 볼 수 있으나, 필자는 그대로 둔 채로.. 2023. 4. 28.
[Dev] 23.04.08. EC2 인스턴스에 git clone 후 배포하기 git 설치 // git 설치 sudo apt-get install git // 버전 확인 git --version 위 명령어를 작성하여 git을 설치하고 버전을 확인한다. Project Clone git clone 'repository address' git clone https://github.com/Gyuhwan-Kim/Recipository.git github로부터 프로젝트를 clone한다. Build 및 실행 ./gradlew build Clone한 폴더에서 위 명령어를 작성하면 build가 진행된다. 문제는 EC2 프리티어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build 에 문제가 발생한다. Gradle은 프로젝트를 build하기 위해서 Daemon 프로세스를 진행한다고 하는데, 프리 티어에서는 1GB의 메.. 2023. 4. 8.
[Dev] 23.04.08. AWS S3 Bucket으로의 업로드를 위한 IAM 역할 연결 Access Key 대신 권장하고 있는 대안 현재 S3로의 업로드에는 properties에 입력한 IAM 계정의 access key와 secret key를 활용하여 AmazonS3Client 객체를 생성하고 있다. 하지만 IAM의 access key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Amazon은 그 대신 위 메시지를 보이며 EC2 인스턴스에 IAM 역할을 할당하여 액세스를 위한 임시 보안 인증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방식을 권장하고 있다. 보이는 Learn more를 눌러 열리는 페이지에서 어떤 방식으로 작업해야할 지 알 수 있다. EC2 인스턴스 내에서 직접 AWS 보안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그것을 인스턴스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것을 허용한 것이 바로 access key와 secret key이다. 하지만 이 인.. 2023. 4. 8.
[Dev] 23.04.06. S3 Bucket의 권한 (with. Public Access, Policy, ACL) AWS S3 Bucket을 생성하고, local에 있는 Spring Boot project에서 S3 bucket으로 이미지를 업로드할 수 있도록 작업해두었다. 하지만 이미지가 업로드되는 것은 눈으로 확인했는데, client 측에는 이미지를 확인할 수 없었다. 무엇이 문제였을까? 생성한 Bucket의 권한 탭을 가면 볼 수 있는 화면이다. 권한 개요에는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만 액세스할 수 있다고 적혀있고, 그 아래에는 퍼블릭 액세스 차단(버킷 설정) 항목이 있다. 편집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Bucket을 생성할 때 잠깐 보고 지나쳤던 내용이 등장한다. 퍼블릭 액세스와 관련하여 다음의 네 가지 선택 사항이 있고, 각각은 서로 독립적이다. Bucket을 생성할 때는 모든 퍼블릭 액세스 차단에 체크한 그대로 만.. 2023. 4. 6.
[Dev] 23.04.05. AWS S3 Bucket으로의 업로드 (with. Access Key) 많은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던 S3 Bucket으로의 업로드에는 access key와 secret key라는 친구들이 활용되었다. 하지만 필자가 S3 Bucket을 생성할 때도 해당 key들은 만들어지지 않았으며, key의 정보가 담긴 csv file도 얻을 수 없었다. Bucket을 생성한 후에 key를 생성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으나, 해당 과정에서는 key를 생성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고 있어서 조금은 당황했다. 그래도 key를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우선 key를 생성하여 이를 활용한 S3로의 업로드 기능을 작업해보려고 한다. 그동안 많은 블로그에서 다룰 정도로 폭넓게 알려져 있으므로 일단 경험해보고, 왜 이 방법을 권장하지 않는지 알아본 뒤 AWS에서 권장하는 방식으로 변경해.. 2023. 4. 5.
[Dev] 23.03.31. AWS S3 Bucket 생성 이제까지 AWS 관련해서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build한 jar file을 복사해주었다. 그리고 RDS 인스턴스도 생성하여 EC2 인스턴스 및 프로젝트와 연결해주었다. 이번에는 게시글의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S3 버킷'이라는 것을 생성해보려고 한다. 생성 후에는 프로젝트에서 이미지를 업로드하고, 그 저장 경로를 저장하는 logic에 대한 수정 작업을 이어서 할 것이다. 참고한 블로그입니다. S3 버킷 생성하기 서비스에서 S3를 검색하여 들어오면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이다. 처음 들어왔으니 버킷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새롭게 버킷을 만들어보겠다. 가장 먼저 버킷의 이름을 설정하고, AWS 리전을 서울로 설정했다. 객체 소유권 항목은 권장하는대로 우선 두었다. 이 버킷의 퍼블릭 액세스.. 2023. 3. 31.